폴리머
폴리머 분석 상세 정보
폴리머에 대한 열 분석 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DSC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로, 이를 통해 용융, 결정화, 가교, 유리 전이, 비열 용량 및 산화와 같은 열 효과 및 파생 파라미터를 조사할 수 있습니다.
TGA (열 중량 분석법)는 폴리머, 폴리머 혼합물 및 혼합물의 구성과 열 안정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QMS(4중극자 질량 분석법) 또는 FT-IR(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과 결합하여 가스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팽창률측정 및 열역학적 분석( TMA )은 열팽창 계수뿐만 아니라 팽창 또는 수축 거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DMA (동적 기계 분석)는 탄성 계수 값과 점탄성 거동, 노화, 크리프 및 이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DEA(유전체분석)를 사용하면 가공 중에도 반응성 레진 시스템의 경화 거동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LFA (레이저/광 플래시 분석)는 열가소성 용융물의 경우에도 열 확산도를 측정하며, 이 정보를 사용하여 열전도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폴리머 절연 폼의 열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증된 방법은 HFM을 통한 열 흐름 측정입니다.
DSC | 압력- DSC | Photo- DSC | TGA/ STA | DIL | TMA | DMA | DEA | LFA | hFM/ GHP | |
열가소성 플라스틱 | - | o | - | - | - | - | - | - | - | - |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 - | o | - | - | - | - | - | - | - | - |
엘라스토머/고무 | - | o | - | - | - | - | - | o | - | o |
열경화성 | - | - | - | - | - | - | - | - | - | o |
페인트/코팅 | - | o | - | - | - | - | - | - | o | - |
접착제 | - | - | - | - | o | - | - | - | o | - |
거품 | - | - | - | - | - | - | - | o | - | - |
컴포지트 | - | - | - | - | - | - | - | - | - | - |
범례:
- 이상적
o 약간의 노력으로 가능
- 불가능, 실용적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