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09.2020 by Milena Riedl

흑연 코팅을 사용한 LFA 측정: 팁과 요령

열전도율과 확산도는 재료 또는 구성 요소의 열전달 특성을 설명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열물리학적 재료 파라미터입니다. 레이저 플래시 분석은 반사를 제거해야 하는 광학 방법이기 때문에 흑연 코팅과 같은 시료 준비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아래 동영상에서 전도성이 높은 시료를 코팅하는 방법이 측정하고자 하는 재료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이유를 알아보세요.

열전도율과 확산도는 재료 또는 구성 요소의 열전달 특성을 설명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열물리학적 재료 파라미터입니다. 열 확산도와 같은 열물리학적 특성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레이저 플래시 기법(LFA)은 빠르고 다목적이며 정밀한 절대적 방법으로 입증되었습니다. 레이저 플래시 분석으로 측정을 수행할 때, 평면 평행 시료의 아래쪽 표면(그림 1 참조)이 먼저 짧은 에너지 펄스에 의해 가열됩니다. 그 결과 시료 상부 표면의 온도 상승을 적외선 감지기로 측정합니다. 시간에 따른 일반적인 온도 변화는 그림 2(빨간색 곡선)에 나와 있습니다. 샘플의 열 확산도가 높을수록 신호가 더 가파르게 증가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에서 확인하세요!

그림 1: LFA 작동 원리의 개략도
그림 2: LFA의 시간 함수에 따른 일반적인 온도 변화

전도성이 높고 불투명하며 고체 시료에 흑연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레이저 플래시 분석은 반사를 제거해야 하는 광학 방법이기 때문에 시료 준비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전도성이 높고 불투명하며 고체 시료의 경우 흑연 코팅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흑연은 시료의 흡수 및 방출 특성을 향상시켜 일반적으로 더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흑연의 무반사 표면으로 인해 신호 대 잡음비가 향상됩니다. 아래 동영상에서 전도성이 높은 시료를 코팅하는 방법이 측정하고자 하는 재료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이유를 알아보세요. NETZSCH LFA 467 HyperFlash® 을 사용하여 수행한 실험은 순수 구리를 측정할 때 최상의 결과를 얻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동영상을 시청하시려면 마케팅 쿠키 사용에 동의해주십시오.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