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집

버거 모델

Burgers Model이란 점탄성물질의 일반적인 모델로서, 주로 크립(CreepCreep은 일정한 힘 아래에서 시간과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소성 변형을 나타냅니다. 고무 화합물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가해진 힘에 인해 발생하는 초기 변형이 고정되지 않습니다. 변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합니다creep) 거동 (크립 회복)을 측정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이 모델은 spring과 dashpots이 조합되어 직렬요소와 병렬요소가 조합 배열되어 있습니다.   

  • Spring- 탄성 반응을 나타냅니다. 탄성 하중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당겨질 때,  정의된 길이(strain)까지 즉시 당겨지게되며 하중이 사라지면 초기 상태로 완전히 복구됩니다. (가해진 stress(응력) 크기가 spring이 흡수할 수 있는 것보다 클 경우 영구적/회복이 불가능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yield stress"를 참조하십시오.)
  • Dashpots – 점성 반응을 나타냅니다. 가해진 응력 부하에서 당겨지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속도가 점도에 따라 달라짐) 부하가 제거될 때까지 계속 이동합니다. 하중이 제거되고 영구 변형된 상태로 유지되면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버거 모델에서 G1과 η 2는 직렬로 독립적이며 재료의 개별 탄성 및 점성 성분을 모델링합니다. 

G2와 η1은 하중을 가했을 때 dashpot/점성 구성 요소에 의해 즉시 spring/탄성 반응이 "감쇠"(느려짐)되는 샘플의 점탄성 구성 요소를 모방하는 병렬입니다. 
응력 하중이 제거된 후, η1에 의해 다시 감쇠가 일어나지만 G2가 회복됩니다. 그러나 “선형 점탄성 영역(Liner viscoelastic region”에서는G2가 가해진 응력과 선형관계로 완전히 회복됩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전문가가 기꺼이 도와드리겠습니다.

문의하기